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화민국 북양정부

덤프버전 :

중화민국 북양정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서주(西周)
동주(東周)춘추전국시대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송(宋)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동위(東魏)
진(陳)북주(北周)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후량(後梁)십국탕구트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북송(北宋)서하(西夏)
남송(南宋)서요(西遼)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 펼치기 · 접기 ]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협상국
유럽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아시아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태국 국기.svg 시암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헤자즈 왕국 · 파일:리야드 토후국 국기.png 리야드 토후국 · 파일: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국기.svg 아시르 토후국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북아메리카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남아메리카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아프리카파일:120px-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pn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동맹국
유럽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폴란드 섭정왕국 국기.png 폴란드 섭정왕국+ · 파일: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국기.svg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파일:우크라이나국 국기.png 우크라이나국+ · 파일:핀란드 왕국 국기.svg 핀란드 왕국+ · 파일:발트 연합 공국 국기.svg 발트 연합 공국+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왕국+ · 파일:크림 지방 정부기.png 크림 지방 정부 · 파일:돈 코사크 국기.svg 돈 공화국+
아시아파일:자발 샴마르 토후국 국기.svg 자발 샴마르 토후국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 파일:1920px-Flag_of_the_Mountain_Republic.svg.png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아프리카파일:데르비시국 국기.svg 데르비시국 · 파일:다르푸르 기.svg 다르푸르 술탄국 · 파일:트란스발 공화국 국기.svg 트란스발 공화국 · 파일:센시라국기.jpg 세누시아 · 파일:모로코 국기.svg 자야네스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상징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정치 전반 · 국민대회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국가원수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돤치루이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왕징웨이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여우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라이칭더 · 천젠런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사법 · 치안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역사 ]

역사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시대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공자 · 쿵더청)
사서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반장전쟁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 문화 ]

문화 전반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요리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四靈 · 오룡#다섯 마리의 용 · 사흉) · 동방번개
언어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중국어 교과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중화민국
中華民國 | Republic of China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장.svg
국기국장
五族共和
오족공화
파일:china_map_1912.svg.png
1913년 ~ 1915년, 1916년 ~ 1928년[1]
성립 이전동북역치 이후
중화민국 임시정부중화민국 국민정부
이칭북양정부(北洋政府)
국가오족공화가 ,(1913년),
경운가 ,(1913년~1915년),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 ,(1915년~1921년),
경운가 ,(1921년 ~ 1928년),
위치중국 대륙
명목상 영토투바, 외몽골, 티베트
수도공식베이징 ,(1913년 ~ 1928년),
임시선양 ,(1928년),
면적11,418,174km²
정치 체제공화제
의원내각제[2](1913년, 1916년~1923년, 1924년)
초급총통제[3](1914년~1915년)
대통령중심제[4](1923년~1924년)
내각제[5](1925년~1927년)
군정[6](1927~1928년)
국가원수대총통 ,(1913년~1924년),
집정 ,(1924년~1927년),
육해군대원수 ,(1927년~1928년),
정부수반국무총리
입법 기구양원제 국회
언어중국어
문자한자, 주음부호
종교유교, 대승 불교, 도교, 기독교
민족한족, 위구르족, 몽골족, 티베트족, 만주족, 소수민족
통화위안
본위제도은본위제도

1. 개요
2. 국기
3. 국가
3.1. 오족공화가
3.3.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
4. 역사
5. 주요 사건
6. 관련 인물
6.1. 역대 국가원수
6.2. 역대 부총통
6.3. 역대 정부수반
6.4. 정치가
6.5. 국민당



1. 개요[편집]


북양정부(北洋政府, Beiyang government)는 베이징을 수도로 하는 중화민국과도정부였다. 북양정부라는 이름의 유래는 초대 대총통 위안스카이가 영도한 군벌인 북양군벌이다.


2. 국기[편집]


오색기(五色旗)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다섯 개의 색깔이어서 오색기라고 한다.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는데, 그 중 쑹자오런이 고안한 이 깃발을 1912년 1월 난징에서 중화민국 임시의회가 정식 국기로 제정하였다. 공모했었던 여러 깃발 중에서 쑨원이 고안한 청천백일기는 훗날 국민정부 수립과 함께 국기로 채택되기에 이른다.

붉은색은 한족, 노란색은 만주족, 파란색은 몽골족, 흰색은 위구르족, 검은색은 티베트족을 상징한다.[7] 중국을 한족의 국가가 아닌 소위 한만몽회장(漢滿蒙回藏), 즉 다섯 개의 민족이 연합된 국가로 규정하는 오족공화의 사상에 짙은 영향을 받았다.

사실 이 오색기는 긴 역사를 가진 상징이다. 기록에 따르면 수나라 때부터 5가지 색의 군기를 사용했다고 한다. 오행, 즉 나무(청색) 불(홍색), 흙(황색), 쇠(백색), 물(흑색)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오색기는 당나라 때도 사용되었는데, 5개의 서로 다른 깃발이 아닌 한 깃발 안에 5가지 색이 들어있는 형태로 진화하였다. 오색기가 오행만이 아닌, 다민족국가를 의미하게 된 건 정복왕조인 원나라 때부터였다. , 대를 거치면서 오색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고 활용되어 점차 군기와 국기의 역할을 겸하게 되었다. 물론 청나라는 말기에 황룡기를 공식 국기로 정하긴 하지만.

3. 국가[편집]



3.1. 오족공화가[편집]


오족공화가

쑨원이 중화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을 당시부터 북양정부 초기까지 쓰였던 국가.


3.2. 경운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운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가장 오랫동안 쓰인 국가이며 '북양정부 국가'라고 하면 대개 경운가를 칭한다.


3.3.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편집]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

위안스카이의 홍헌제제 이후 쓰였던 국가. 위안스카이가 사망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가, 1921년 다시 경운가로 복귀하였다.


4. 역사[편집]


쑨원으로부터 대총통직을 받고 북양정부 수립을 완료한 위안스카이는 수도를 베이징에 두었으며, 독재 체제를 굳히려는 양상을 보였다. 그는 안으로는 혁명가들을 탄압하였으며, 밖으로는 열강들에게 너무 많은 이권을 주어 점차 국민들의 반발을 산다. 대총통에 집권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고문들과 장남 위안커딩의 권유로 이전부터 꿈꿔왔던 황제의 꿈을 실현시켰다. 중화민국을 중화제국으로 바꾸고 스스로 황제에 오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수많은 중국인들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심지어 측근들도 대부분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가족들조차 위안커딩을 제외하면 모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더 나아가 영국, 프랑스, 미국 등 열강들 반발에도 직면하였다. 결국 1915년 12월 25일에는 운남군벌량치차오, 차이어, 탕지야오 등이 합세하여 토원 봉기가 일어나는 등 봉기가 전국으로 퍼져 호국전쟁이 발발하자 3월 23일 제정을 취소했다. 하지만 계속되는 측근들의 배신과 하야 압력에 요독증이 악화되어 6월 6일 사망했고 그 뒤를 이은 대리총통 리위안훙은 임시약법과 구국회의 회복을 선언했다.

하지만 헌법 제정 문제로 국회 내부의 정쟁이 이어졌고 부원지쟁장훈복벽을 거쳐 중화민국 국회가 다시 전복되면서 호법전쟁 등 남북 내전이 이어졌다. 북방에서는 북양정부의 권력을 쥐기 위해 북양군벌에서 갈라진 계파인 직예군벌, 안휘군벌, 봉천군벌 등이 이합집산을 반복하며 아귀다툼을 벌이며 중앙에서 대립했다. 그리고 각 지방에서는 지역 군벌들이 난립하여 내전을 이어갔고,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이 1928년까지 이어졌다. 1919년 외몽골 출병을 통해 외몽골을 다시 복속시키는 등 성과가 없지는 않았지만 이마저도 1921년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세력에게 장악되어 다시 상실하고 만다.

1926년 장제스북벌이 시작되면서 북양정부를 치기 위해 북상했고, 이에 북양군벌들의 계파는 급하게 연합전선을 결성하여 대응했다. 국민당은 4.12 상하이 쿠데타 이후 잠시 분열되었으나 곧 영한합작을 통해 난징 국민정부로 통합하였고 1928년 펑위샹, 옌시산 등과 힘을 합쳐 2차 북벌에 나섰다. 결국 장쭤린은 수도를 봉천으로 옮긴다고 선포한 후 내각을 거느리고 본거지인 만주로 퇴각하다가 관동군고모토 다이사쿠, 도이하라 겐지 등이 일으킨 황고둔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그 뒤를 이어 장쉐량이 봉천군벌의 지도자가 되지만, 국민당과 일본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다 결국 장제스에게 복종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동북역치로 국민정부에 합류함으로 북양정부는 완전히 소멸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주요 사건[편집]




6. 관련 인물[편집]



6.1. 역대 국가원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국가원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역대 부총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부총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3. 역대 정부수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역대 국무총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4. 정치가[편집]




6.5. 국민당[편집]





[1] 1913년 10월 10일 이전까지는 중화민국 임시정부 참고, 1915~1916년 사이는 중화제국 참고[2] 임시약법 시기[3] 신약법 시기[4] 차오쿤 헌법 시기[5] 구국회의 임기가 종료되었으나 국회가 구성되지 못하여 임시집정의 지명으로 국무총리가 내각을 구성했다.[6] 장쭤린 육해군대원수 시기[7] 일본이 만주에 세운 괴뢰국인 만주국의 국기 또한 이를 본따 만주의 다섯 민족인 만주족, 일본인, 조선인, 한족, 몽골인을 상징하는 신오색기를 사용하였다.